일본어의 모든 동사 형태를 알아보세요.

니혼고

Kevin

일본어의 동사 형태를 연구하는 것은 유창함과 이해력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일본어는 격식의 수준과 말의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동사 활용을 제공합니다. 이 글은 이러한 형태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이해를 돕기 위한 실용적인 예시를 포함합니다.

일반적인 형태와 정중한 형태, 부정형의 활용, -타 형태(과거형), 그리고 수동형 및 사역형과 같은 보다 복잡한 형태를 모두 다룰 것입니다. 만약 당신이 동사를 발견하고 그 활용을 알고 싶다면, 이 가이드는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시작해 보겠습니다!

일본어 동사 목록 - n5

일반 및 공식

일본어에서 동사는 일반적인 형태(비격식) 또는 정중한 형태(격식)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일반 형태는 "사전형"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U"로 끝납니다. 이 형태는 비격식적인 맥락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른 활용의 기초로도 사용됩니다.

정중한 형태 또는 "형태 -masu"는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상사와 이야기할 때나 정중한 맥락에서 사전 형태의 끝 "U"를 "I"로 바꾸고 "-masu"를 추가합니다. 이렇게 하면 "話す" (hanasu)는 "話します" (hanashimasu)가 됩니다.

예를 들면 :

私は日本語を話します
Watashi wa nihongo o hanashimasu

번역: 저는 일본어를 합니다.

부정적인 형태

일본어에서 부정을 형성하기 위해 "아니오"와 같은 별도의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동사의 특정 활용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부정형은 "-nai"를 사용하고, 공손한 형태는 "-masen"을 사용합니다. 이는 동사가 사전형인지 -masu형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

私は日本語を話せない
Watashi wa nihongo o hanasenai

번역: 나는 일본어를 못해요.

형식적인 방식으로:

私は日本語を話しません
Watashi wa nihongo o hanashimasen

번역: 저는 일본어를 하지 않습니다 (형식적).

사요 나라 + 50 가지의 의미하는 것은 일본어로 작별 인사하기

형태 -ta (과거)

형태 -ta는 행동이 과거에 발생했거나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사전형 동사를 형태 -ta로 변환하려면, 특정 규칙에 따라 끝부분을 교체해야 하며, 이는 동사 그룹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정중한 형태에서 "行きます" (ikimasu)는 과거를 나타내기 위해 "行きました" (ikimashita)로 변하고, 부정형인 "行きません" (ikimasen)은 "行きませんでした" (ikimasendeshita)로 변합니다.

사용 예:

行きませんでした
Ikimasendeshita

번역: 나는 가지 않았다.

형태 - 너와 그의 기능

-て 형태의 동사는 다기능적입니다. 이들은 문장을 연결하거나, 순차적인 행동을 나타내거나, 명령문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いる" (iru)와 같은 다른 동사와의 문법 구성에서도 사용되어 현재 진행형을 형성합니다.

예를 들면 :

昨日、私は起きて、食事をして、出かけました。
Kinō, watashi wa okite, shokuji wo shite, dekakemashita

번역: 어제, 나는 일어나서, 먹고 나갔다.

이 형태는 자연스럽게 연결된 행동을 표현하기 위해 대화와 글쓰기에서 매우 일반적입니다.

형태 잠재적

가능형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나 가능성을 표현합니다. 1형 동사의 경우, 끝 "U"는 "ERU"로 바뀝니다. 2형 동사의 경우, 끝 "RU"는 "RARERU"로 교체됩니다. 부정형은 "ENAI" 또는 "RARERENAI"로 변형됩니다.

예:

本が読める
Hon wo yomeru

번역: 나는 그 책을 읽을 수 있어요.

부정형으로:

魚は食べられない
Sakana wa taberarenai

번역: 나는 생선을 먹을 수 없어.

수동태와 사역형

수동형은 주어가 동작을 당함을 나타냅니다. "-ARERU" 엔딩은 제 1형 동사에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書く" (kaku)는 "書かれる" (kakareru)로 변합니다. 반면, 사역형은 "누군가가 누군가에게 동작을 하게 한다"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行く" (iku)의 사역형은 "行かせる" (ikaseru)입니다.

수동태의 예:

その本は来月出版されます
Sono hon wa raigetsu shuppan saremasu

번역: 이 책은 다음 달에 출판될 것입니다.

사례로 인과형:

子供を学校へ行かせました
Kodomo wo gakkō e ikasemashita

번역: 아들을 학교에 가게 했어요.

의지 또는 추정 양식

초대장 만들기나 행동 제안을 위해, 우리는 의도형을 사용하며 이는 "무언가 하자"로 번역됩니다. -ます 형태의 동사는 "ましょう" (mashou)로 변환되며, 기본형이 사용될 때 마지막 글자는 "よう" (you)로 바뀝니다.

예 :

皆行きましょう
Mina ikimashou

번역: 사람들, 가자!

テレビをみましょう
Terebi wo mimashou

번역: 텔레비전을 보자.

형용사 부정형

부정 명령형은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고 금지하거나 지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본어에서는 정중함의 수준에 따라 명령의 부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비공식적인 상황이나 더 직설적인 경우에는 동사 사전형 뒤에 "な" (na)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용법은 군사 명령이나 엄격한 지침에서 더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話すな
Hanasu na

번역: 말하지 마세요.

이미 더 격식있거나 정중한 문맥에서는 동사에 -te 형태 다음에 "ないでください" (naide kudasai)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話さないでください
Hanasanai de kudasai

번역: 제발 말하지 마세요.

임시 조건 -eba

조건부 가정 "-eba"는 어떤 일이 발생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일본어에서 결과나 미래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데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조건을 형성하기 위해 I형 동사의 "U" 끝은 "EBA"로 대체됩니다. II형 동사에서는 "RU" 끝이 "REBA"로 바뀝니다. 예를 들어:

話せば
Hanaseba

번역: 말하면.

-eba 형태의 부정형은 동사에 "なければ" (nakereba)를 추가함으로써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면:

話さなければ
Hanasanakereba

번역: 말을 하지 않으면.

형태 바람 -たい

원하는 형태 "-tai"는 행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욕망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포르투갈어로는 "무언가를 하고 싶다"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 형태는 활용하기 간단합니다: -masu 형태의 동사에서 어간을 취한 후 "masu"를 "tai"로 바꾸기만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동사 "行く" (iku - 가다)와 함께:

行きたいです
Ikitaidesu

번역: 나는 가고 싶다.

부정형에서는 "tai"를 "taku nai" (비격식) 또는 "taku arimasen" (격식)으로 대체합니다. 예:

行きたくないです
Ikitakunai desu

번역: 나는 가고 싶지 않아.

형태 조건 -tara

형태 -tara는 일본어에서 조건을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이지만, 조건이나 설명된 상황이 더 상황적일 때 사용됩니다. 형태 -tara는 포르투갈어로 "se" 또는 "quando"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話す" (hanasu - falar)의 사용 예:

話したら
Hanashitara

번역: 내가 말하면 / 내가 말할 때.

-tara의 부정형도 같은 논리를 따릅니다, 예를 들어:

話さなかったら
Hanasanakattara

번역: 내가 말하지 않으면 / 내가 말하지 않을 때.

이 기사로 일본어의 주요 동사 활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형태를 내재화하기 위해 계속 연습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기사에서 언급되지 않은 드문 다른 동사 형태도 있습니다.

애니메이션에 대한 정보: Kimi no Koto ga Daidaidaidaidaisuki na 100-nin no Kanojo
의미와 정의: gyoku